시인 신동엽길
🗺 개념도
난이도 | 길이 | 볼트수 | 루트스타일 | |
---|---|---|---|---|
1피치 | 5.7 | 35m | 3개 | 슬랩 |
2피치 | 5.10a | 35m | 4개 | 크랙 |
3피치 | 5.8 | 30m | 1개 | 크랙, 슬랩 |
4피치 | 5.9 | 30m | 3개 | 크랙 |
5피치 | 5.10d | 20m | 2개 | 크랙 |
6피치 | 5.8 | 35m | 4개 | 크랙, 슬랩, 페이스, 침니 |
7피치 | 5.10c | 35m | 5개 | 크랙 |
8피치 | 5.10a | 30m | 3개 | 크랙 |
9피치 | 5.8 | 45m | 5개 | 크랙, 슬랩 |
10피치 | 5.11c/A0 | 30m | 4개 | 페이스 |
피치를 클릭하면 상세 설명이 표시됩니다. |
백운대의 가장 인기 있는 루트, 슬랙, 크랙, 침니 등 다양한 등반 가능한 시인 신동엽길
- 위치: 백운대 남서릉
- 소요시간: 3인 기준 5~6시간
접근 우이동과 북한산성유원지 두 곳에서 접근하는 게 가장 빠르다. 우이동의 경우 도선사주차장 ~ 하루재 ~ 백운산장을 거쳐 위문에 올라선 다음 데크계단길을 따라 약수암 쪽으로 내려서다가 백운대 남서벽으로 이어지는 샛길로 접어들거나 약수암 직전 우측 산길로 들어선다. 입구에 ‘등산로 아님. 등반 금지’ 표지판이 있다. 샛길을 따르면 남서벽 아래 널찍한 공터로 내려선다. 북한산성 방면에서는 대서문 ~ 대동사 입구 ~ 약수암 방향으로 접근.
탈출로 등반 도중 완등이 어렵겠다 싶으면 6피치 종료지점 위쪽 숲길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빠지도록 한다. 곧 위문 ~ 대서문 등산로를 만나며, 위로 오르면 위문을 거쳐 우이동 방면으로, 아래쪽으로 향하면 대서문을 거쳐 북한산성 지구로 내려선다. 9피치를 마치면 대개 10피치를 생략하고 오른쪽 바위골을 따르다 백운대 정상으로 올라선다.
하산 제9피치를 마치면 널찍한 테라스 위로 올라선다. 여기서 보너스 격인 제10피치를 등반해도 되고, 아니면 오른쪽 잡석지대로 들어선 다음 철주에 와이어로프가 걸린 등산로를 따라 백운대 정상에 올라섰다가 위문 쪽으로 하산하면 된다.
교통 우이동 방면으로 접근할 경우 전철4호선 수유역에서 우이동행 버스를 이용한다. 버스종점에서 택시(상행 2,000원, 하행 1,000원)를 이용해 약 1.5km 떨어진 도선사 주차장까지 오를 수 있다. 주차장에서 약수암까지 약 1시간 소요. 북한산성유원지 방면은 전철3호선 구파발역에서 북한산성유원지 행 노선버스를 이용한다. 유원지 입구에서 대서문을 거쳐 약수암까지는 약 1시간 소요.
출처 : 월간산(http://san.chosun.com)
📯 하강
- 9P, 10P 에서 백운대 정상(눈으로 보임)으로 이동하여 도보로 하산
- 9P 옆 하강 앵커에서 60m 혹은 70m 하강 후 도보로 하산
백운대로 철난간이 철거되어 백운대로 접근하는 길이 위험하니 주의필요 (암벽화 필요)
🎖 공헌
- 경원대 산악부(김기섭 등) 개척, 1993~1994
- 김종식 클라이밍 스쿨 정비, 2020 / 시인신동엽길(백운대), 정비보고서 및 전구간 루트파인딩 Climbing in Korea
- 손정준, 손승민 추가 보수 작업, 2021 / ‘시인 신동엽길’ 추가 보수 작업 실시, san62